하스스톤을 재밌게 즐기는 유저입니다.
며칠간 고심 끝에 이렇게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원래도 그랬지만, 올해 들어 하스스톤의 현지화 품질이 너무나 좋지 않습니다.
단순히 용어를 잘못 번역하는 것은 물론, CCG 장르에서 가장 중요한 카드 텍스트조차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출시를 앞두고 있는 이번 신규 확장팩(Across the Timeways) 관련 사항입니다.
우선 악마사냥꾼의 신규 카드 Timeway Warden(영문명)입니다.
해당 카드는 한국어로 ‘시간의 길 감독관’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이는 치명적인 오역입니다.
카드 아트워크를 보면 해당 카드가 나이트 엘프의 무력 집단 중 하나인 Warden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이트 엘프의 Warden은 10년도 훨씬 전부터 항상 ‘감시관’으로 번역되어 왔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도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하스스톤 현지화 작업자는 이를 ‘감독관’, 영문으로는 ‘Supervisor’에 해당하는 의미로 번역하였습니다.
하스스톤은 워크래프트 유니버스에서 파생된 게임이므로 워크래프트 설정에 대한 배경지식은 당연히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기초적인 오류는 현재 하스스톤 현지화를 담당하는 업체? 개인?이 워크래프트에 대한 이해도가 수준 이하이며, 알아보려는 노력도 하지 않았다는 방증입니다.
다른 예시를 또 보겠습니다.
서로 다른 카드들인데 이름이 같은 사례입니다. Amber Watcher(한국어 명칭: 호박색 감시자)는 과거에 나온 성기사 카드이고, Amber Warden(한국어 명칭: 호박색 감시자)은 이번 신규 확장팩에서 나오는 카드입니다.
너무 초보적인 오류 아닌가요? 카드 게임에서 이름이 겹치는 게 있을 수 있는 상황입니까?
이 경우 나이트 엘프의 Warden은 아니지만, 용어 일관성을 고려해 Amber Warden은 ‘호박색 감시관’이 되었어야 합니다.
다음 예시를 보겠습니다.
성기사 신규 카드인 Manifested Timeways가 한국어로 ‘현신한 시간의 길’로 번역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건 명백한 오역입니다. 이 카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용군단 확장팩의 메가 던전 ‘무한의 여명’에서 등장한 우두머리인 ‘Manifested Timeways’을 가져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한국어판에서는 해당 우두머리 이름이 ‘시간의 길 현신’으로 번역되었습니다.
기본적인 크로스체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지금은 수정됐지만 카드 텍스트 자체가 잘못 번역되어 플레이에 심각한 지장을 준 사례도 있습니다.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확장팩에서 출시된 카드 알라라시입니다.
이 카드는 내 손(your hand)에 있는 하수인을 변신시키는 효과인데, 한국어판에서는 내 덱(your deck)으로 변경되어 심각한 혼동을 유발했습니다.
나중에 긴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내 손(your hand)으로 정상적으로 수정됐습니다.
그 외에도 올해 수많은 오역 사례가 있으나, 전부 나열하기엔 내용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이쯤에서 줄이겠습니다.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하스스톤 한국어 번역은 올해 들어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졌고, 플레이어 경험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저는 제가 즐기는 게임이 이렇게 게임 외적인 문제로 홍역을 치르고, 나쁜 인식이 생기는 걸 바라지 않습니다.
게임을 사랑하는 유저로서, 번역에 대한 개선을 요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