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쟁전 참여 조건 완화로 인한 경기 질 저하 관련 건의
안녕하세요. 오버워치2를 즐기고 있는 유저입니다.
최근 게임을 하면서 경기의 질이 이전보다 떨어졌다는 위화감을 느껴 이렇게 글을 드립니다.
저는 그 원인 중 하나가 ‘경쟁전 참여 조건을 일반전 20승으로 낮춘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매칭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더라도, 기반이 되는 데이터가 오염된다면 매칭 품질은 저하될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에는 경쟁전 입장 조건이 더 까다로웠고, 모든 영웅을 바로 사용할 수도 없었습니다. 이는 신규 유저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했지만, 동시에 핵·부계정·트롤러 억제 장치로도 일정한 효과를 냈습니다. 그러나 이번 완화 조치 이후로는 경쟁전뿐만 아니라 빠른 대전에서도 단순히 20승 조건을 채우려는 소극적 플레이가 늘어났고, 핵 사용 계정이나 부캐릭터의 유입도 증가한 듯합니다. 그 결과 게임 전반의 매칭 질이 저하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신규 유저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취지에는 동의합니다. 다만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 너무 섣불리 도입된 점이 아쉽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재검토나 보완책을 마련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ubject: Concerns About the Lowered Requirements for Competitive Play
Hello, I am a player who has been enjoying Overwatch 2.
Recently, I have felt that the overall quality of matches has declined compared to previous seasons, and I would like to share my thoughts.
I believe one of the main reasons is the **reduction of the Competitive Play entry requirement to 20 Quick Play wins. Even with a good matchmaking algorithm, if the underlying data is compromised, the quality of matchmaking inevitably suffers.
In the past, the requirements for entering Competitive were stricter, and not all heroes were immediately available. While this was indeed a barrier for new players, it also served as a measure to discourage cheaters, smurf accounts, and trolling behavior. With the recent relaxation, however, I have noticed more players engaging in low-effort matches just to reach the 20-win threshold, as well as what appears to be an increase in cheaters and smurfs. As a result, both Competitive and Quick Play seem to have been negatively affected in terms of match quality.
I fully understand and support the intention of lowering barriers for new players. However, I feel that this change was implemented too hastily without considering the negative side effects. I sincerely hope the team will review this issue and consider additional measures to maintain the quality of matches.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