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 DTSAP
워크샵은 첨 써보지만 앞으로 편하게 작업하기 위해 에디터용으로 만들어봤어요.
-
글로벌 변수
Z(Vector) : 플레이어 공간에서 사용될 절대좌표의 로컬 좌표
Y(Float) : 절대좌표의 축 사이의 크기
Z(Float) : 절대좌표의 축을 나타내는 공의 크기 -
플레이어 변수
Z (Array) : 각종 잡다한 변수들
Z_ 0 (Vector) : 왼클 했을 때 위치
Z_ 1 (Vector) : 왼클 꾹 누르고 있을때 현재 위치
Z_ 2 (Vector) : Z0 -> Z1 까지의 벡터 (정규화 되있지 않음)
Z_ 3 (Float) : Z0 ~ Z1 까지의 거리
Z_ 4 (Bool) : 왼클 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리 변수 (왼클 하고 있을때 True)
Z_ 5 (Float) : F를 꾹누르고 있을때 증가하는 변수 (순간이동 거리 변수)
Y (Array) : 효과 개체를 보관하는 배열
X (Array) : 텍스트 ID를 보관하는 배열 -
기능
아래를 보면 자신을 중심으로 절대좌표를 볼 수 있습니다. 빨간색이 X축 파란색이 Z축 하얀색이 중심입니다.
왼클을 누른채로 움직이면 왼클을 눌렀을 때의 위치, 현재 위치, 눌렀을때의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벡터, 눌렀을때의 위치로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를 오른쪽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는 눌렀을때의 위치에 보라색 공과 거리를 반지름으로 가진 원을 볼 수 있습니다.
F를 꾹눌러 값을 증가시켜 F에서 손을때서 값만큼 앞 방향으로 순간이동할 수 있습니다. 순간이동 위치는 시각적으로 노란색 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앉으면 느려지고 일어서면 빨라집니다.